신문보다 포털에 갑니다. 스트레스 받아서 언론사의 기사들을 읽기가 힘든 시대가 됐습니다. 그래도 차선은 찾기 힘들더라도, 차악을 선택해야 하는 근성이 필요한 시대가 됐습니다. 결국 그런 근성머리를 조금 보완해줄 이론서들이 필요하다 생각해서 몇년을 걸쳐 갖추어 놓았습니다. 아직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계속 채워나갈 예정입니다. 방송사는 태초(?)의 컨텐츠 제작소였고 웃음과 다양한 감정을 자극합니다. 또한 진실과 팩트를 다루는 언론사는 점점 컨텐츠 제작소가 되어갑니다. 오히려 드라마가 우스워질 정도로요. 결국 할 수 있는 것은 싫증을 표하기보다는, 현실에 잡아먹히지 않도록 이론을 벼리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1) 알랭 드 보통 <뉴스의 시대>
2, 3) 손석춘 <신문 읽기의 혁명> 1, 2
4) 손석춘 <신문편집의 철학>
5) 허버트 갠즈 <저널리즘, 민주주의에 약인가 독인가>
6) 김영택 <10일간의 취재수첩>
7) 심훈 <인터뷰 글쓰기의 정석>
8) 노엄 촘스키 <환상을 만드는 언론>
9) 이효성 <언론비판>
10) 방정배 <한국언론개혁론)
11) 롤랑 캐롤 <미디어와 민주주의>
12) 이건호 <언론 글쓰기, 이렇게 한다>
13) 남재일, 이재훈 <저널리즘 글쓰기의 논리>
14) 박재영 외 14명 <저널리즘의 지형-한국의 기자와 뉴스>
15) <저널리즘 핸드북- 저널리즘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것>
16) 송건호 외 <한국언론 바로보기 100년>
17) 움베르토 에코 <신문이 살아남는 방법>
18) 이상현 <기자와 민중-일선 기자의 취재수첩>
'일리一理, 북-랩Book-Labora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스마스/성탄절/예수탄신일/그리스도교 절기 (1) | 2021.12.25 |
---|---|
잔소리(3) - 책을 사기에 망설여지는 이유? (2) | 2021.12.21 |
잔소리(2) - '책' 가깝지만 너무나도 먼 (0) | 2021.12.19 |
잔소리(1) - 김영민 <공부론> (4) | 2021.12.14 |
우치다 다쓰루 <우치다 선생이 읽는 법>, <어떤 글이 살아남는가>/알고 보니 시리즈 + 책이라는 첨단 기술을 생각하다 (1) | 2021.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