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칸이 있습니다. 심리학 책들은 요즘 처세와 상처 치유에 대한 책에 가까웠다면, 고전적 심리학은 좀 더 그로테스크하고 태어난 나라의 상징과 근원에 대한 학문으로 보였습니다. 아마, 제가 취급하는 책들은 고전에 가까운 책들이겠지요. 처세에 관한 책은 나름의 허세(?)때문에 갖춰놓지 않았습니다. 프로이트, 융, 라캉 책이 주로 보이네요. 근데, 파노프스키 책이 왜 저깄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지젝 책을 같이 세팅한 이유는 그가 라캉에 영향을 많이 받은 철학자이기 때문입니다. 라캉의 제자(?)라는 차원에서 배치했습니다.
1) 양자오 <꿈의 해석을 읽다>
2) 캘빈 홀 <프로이트 심리학>
3) 슬라보예 지젝 <헤겔 레스토랑>
4)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5) 쥬앙 다비드 나지오 외 <프로이트에서 라캉까지, 위대한 7인의 정신분석가>
6) 존 듀이 <아동과 교육과정/경험과 교육>
7) 프로이트 <정신분석 강의>
8) 프로이트 <일상생활의 정신병리학>
9) 프로이트 <꿈의 해석>
10)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11) 프로이트 <히스테리 사례 분석>
12) 에리히 프롬 <프로이트를 넘어서>
13) 이부영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14) 에리히 프롬 <자유에서의 도피>
15) 에리히 프롬 <정신분석과 유물론>
16) 에리히 프롬 <의혹과 행동>
17) 칼 융 <정신의 본질에 대하여>
18) 칼 융 <무의식 분석>
19) 슬라보예 지젝 <코기토와 무의식>
20) 이부영 <그림자>
21) 에리히 프롬 <너희도 신처럼 되리라>
22) 에리히 프롬 <자기를 찾는 인간>
23) 브루스 핑크 <라캉과 정신의학>
24) 숀 호머 <라캉 읽기>
25) 프로이트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
26) 이삭 루리야 <지워진 기억을 쫓는 남자>
27) 알랭 바디우 <라캉, 끝나지 않은 혁명>
28) <융 분석 비평 사전>
29) 아니카 르메르 <자크 라캉>
30) <자크 라캉 욕망 이론>
31) 도널드 위니캇 <박탈과 비행>
32) 프란츠 파농 <검은 피부, 하얀 가면>
33) 프란츠 파농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
34) 빅터 프랑클 <죽음의 수용소에서>
35) 빅터 프랑클 <심리의 발견>
36) 빅터 프랑클 <삶의 의미를 찾아서>
37) 빅터 프랑클 <의미를 향한 소리없는 절규>
38) 패트릭 엘렌 <나는 내가 아니다 - 프란츠 파농 평전>
'일리一理, 북-랩Book-Laboratory > Book-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문서(2) (0) | 2022.01.09 |
---|---|
사회-문화-정치 (0) | 2022.01.09 |
눈에 보이지 않지만, 있는 것들을 다룬 책(Spirituality) (0) | 2022.01.08 |
돈/자본 - 기업 그리고 노동 (0) | 2022.01.08 |
-----의 역사 주제의 책들 (0) | 2022.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