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 및 사회+문화 도서입니다. 다소 정돈되지 않은 느낌입니다만, 최적의 정리를 한 결과이기도 합니다. 끝까지 정리하다 보니, 한국 사회 평론집이 많네요. 평론 및 담론을 알아가는 일이 중요합니다. 오래된 일이더라도 사라지지 않고 누적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지요.
1) 리영희 <반세기의 신화>
2) 송두율 <경계인의 사색>
3) 리영희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
4) 송두율 <계몽과 해방>
5) 정운영 <심장은 왼쪽에 있음을 기억하라>
6) 송두율 <역사는 끝났는가>
7) 이은선/이정배 외 <묻는다, 이것이 공동체인가>
8) 김두식 <불멸의 신성가족>
9) 김만복 외 <한반도 평화의 길>
10) 파커 파머 <비통한 자들을 위한 정치학>
11)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죽어가는 자의 고독>
12) 정세균 <정치에너지>
13) 한완상 <다시 한국의 지식인에게>
14) 조희연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15) 조희연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16) 조희연 <한국의 국가 민주주의 정치변동>
17) 심성보 <인간과 사회의 진보를 위한 민주시민교육>
18) 리영희 <대화>
19) 조희연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20) 안병무 <옳은 민족 옳은 역사>
21) 오르테가 이 가세트 <대중의 반역>
22) 에드워드 사이드 <문화와 제국주의>
23) 루스 베네딕트 <문화의 패턴>
24) 필립 스미스 <문화 이론 - 사회학적 접근>
25) 강상중 외 <공간-아시아를 묻는다>
26) 에드워드 사이드 <도전받는 오리엔탈리즘>
27) 폴 파이아벤트 <방법에의 도전>
28) 움베르토 에코 <포스트 모던인가 새로운 중세인가>
29) 다니엘 튜더 <기적을 이룬 나라/기쁨을 잃은 나라>
30) 피터 버거 <사회학에의 초대>
3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
32) 레지 드브레 <지식인의 종말>
33) 위르겐 하버마스 <이성적인 사회를 향하여>
34) 찰스 테일러 <불안한 현대사회>
35) 지그문트 바우만 <친애하는 빅브라더: 감시사회>
26) 지그문트 바우만 <빌려온 시간을 살아가기>
27) 가라타니 고진 외 <현대 일본의 비평>
28) 류신 <서울 아케이드 프로젝트>
29) 이매뉴얼 월러스틴 <사회과학으로부터의 ㅏㅌㄹ피>
30) 반 룬 <지리학>
31) 샤프 <개인과 휴머니즘>
32) 에릭 호퍼 <맹신자들>
33) 에릭 호퍼 <길 위의 철학자>
34) 에릭 호퍼 <인간의 조건>
35) 에릭 호퍼 <우리 시대를 살아가며>
36) 에릭 호퍼 <시작과 변화를 바라보며>
37) 릭 휘태커 <개인의 죽음>
38) 찰스 라이트 밀즈 <사회학적 상상력>
39) <이론 창간호>
40) <씨알의 소리>
41~48) <현실과 과학 1,2,3,4,5,7,9,10>
49) 아놀드 토인비 <시련에 처한 문명>
50, 51) 실록 민청학련 <1974년 4월 1,3>
52) 이시우 <유엔군 사령부>
53) 피터 버거 <세속화냐 탈세속화냐>
54) 카시러 <국가의 신화>
55) 박홍규 <그들이 헌법을 죽였다>
56) 서준식 <서준식의 생각>
57) 박홍순 <헌법의 발견>
58) 김두식 <헌법의 풍경>
59) 피터 싱어 <실천 윤리학>
60) 송강호 박정경수 <강정평화서신>
61) 칼 포퍼 <열린 사회와 그 적들 2>
62) 하워드 진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
63) 로버트 그린 <권력의 법칙>
64) 제레미 리프킨 <생명권 정치학>
65) 한완상 <민중과 지식인>
66) 박주민/이일규 <별종의 기원>
67) 김예슬 <김예슬 선언>
68) 아룬다티 로이 <9월이여, 오라>
'일리一理, 북-랩Book-Laboratory > Book-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인 테마 - 벽돌 + 철학 (계속) (0) | 2022.01.12 |
---|---|
입문서(2) (0) | 2022.01.09 |
심리학, 내면 들여다보기와 처세 사이 (0) | 2022.01.09 |
눈에 보이지 않지만, 있는 것들을 다룬 책(Spirituality) (0) | 2022.01.08 |
돈/자본 - 기업 그리고 노동 (0) | 2022.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