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리一理, 북-랩Book-Laboratory/Book-Archive

메인 테마 - 벽돌 + 철학 (계속)

by 一理ROASTERS 2022. 1. 12.

북랩 일리의 무게감을 상징하는 책들 모음집입니다. 허세가득한 책들입니다. 제 인간성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지요.

 

1, 2) 헤겔 <정신현상학 1, 2>

3) 화이트헤드 <관념의 모험>

4) 르네 지라르 <나는 사탄이 번개처럼 떨어지는 것을 본다>

5) 데이비드 하비 <에펠>

6) 르네 지라르 <희생양>

7) 르네 지라르 <폭력과 성스러움>

8) <하나인 믿음>

9) <공의회 문헌>

10) 에드문트 후설 <시간의식>

11) 프레드릭 코플스턴 <18, 19세기 독일철학>

12, 13) 토마스 홉스 <리바이어던 1,2>

14) 김철수 <헌법정치의 이상과 현실>

15)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16) 장하성 <산국 자본주의>

17) 데이비드 하비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

18, 19) 발터 벤야민 <아케이드 프로젝트 1, 2>

20) 클리퍼드 기어츠 <문화의 해석>

21) 칼 폴라니 <거대한 전환>

22) 장회익 <삶과 온생명>

23)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24) 김용준 <내가 본 함석헌>

25) <함석헌의 생각과 실천>

26) 함석헌 <씨알에게 띄우는 편지>

27) 임건순 <오자, 손자를 넘어선 불패의 전략가>

28) 임건순 <묵자, 공자를 딛고 일어선 천민 사상가>

29) 임건순 <순자, 절름발이 자라가 천 리를 간다>

30) 임건순 <한비자, 법과 정치의 필연성에 대하여>

31) 한비 <한비자>

32) 토마스 머튼 <장자의 길>

33) 박영호 <다석 류영모의 장자 해설>

34) 안동림 역주 <장자>

35) 이기동 <노자>

36) 이현주 <금강경>

37) 이현주 <장자산책>

38) 무위당 장일순 <노자 이야기>

39) 이현주 <대학 중용>

40) 최한기 <운화측험>

41) <가가와 도요히코 평전>

42) 간호윤 <아! 19세기 조선을 독하다>

43) 간호윤 <아! 나는 조선인이다>

44) 간호윤 <다산처럼 읽고 연암처럼 써라>

45) 풍우란 <중국철학사 (상)>

46-48) 강원용 <빈들에서 1-3>

49) 이기동 <대학/중용강설>

50) 함석헌 <꿈틀거려라 씨알아>

51) 김경재 <내ㅔ 오는 자 참으로 오라- 함석헌 시 연구>

52) 동서문화사 <천자문>

53) 홍익출판사 <손자병법>

54) 윤구병 <있음과 없음>

55) 신영복 <강의 - 나의 도양고전 독법>

56)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57) 함석헌 <들사람얼>

58) 레지스 드브레 외 <동양과 서양이 편지를 쓰다>

59) 김대식 <함석헌과 이성의 해방> 

60) <강원용 인간화의 길/평화의 길>

61) 울리히 벡 <글로벌 위험사회>

62) 울리히 벡 <위험사회>

63) 울리히 벡 <정치의 재발견>

64) 마르쿠제 <이성과 혁명>

65) 김수행 <자본론 연구>

66, 67) 요한네스 힐쉬베르거 <서양철학사 상/하>

68)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69-72) 라다 크리슈난 <인도철학사 1-4>

73-74) 왕양명 <전습록 1,2>(정인재 해설)

75) 줄리아 크리스테바 <사랑의 역사>

76) 함석헌 주석 <바가바드 기타>

77) <우파니샤드>

78) 니체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79)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80) 니체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81) 자크 데리다 <그라마톨로지>

82) 강원돈 <물의 신학>

83) 버트란드 러셀 <서양철학사>

84) 군나르 시르베크/ 닐스 길리에 <서양철학사>

85) 전호근 <한국철학사>

86) 이정우 <세계철학사 1>

87) 박찬국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독>

88) 니체 <권력에의 의지>

89) 윤구병 <철학을 다시 쓴다>

90) 오토프리히 볼노 <진리의 양면성 -인식의 철학>

91) 장 마리 도미나크 <세기말의 사상>

92) 수잔 벅모스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93) 이거룡 <아름다운 파괴-인도 사상 이야기>

94) 조르주 바타유 <불가능>

95) 키에르케고르 <반복/현대의 비판>

96)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왜 철학을 하는가>

97) 로제 폴 드루아 <사물들과 철학하기>

98) 이기상 <철학 노트>

99) 장석주 <호젓한 시간의 만에서>

100)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

101-102) 위르겐 하버마스 <의사소통행위이론 1, 2>

103) 위르겐 하버마스 <이성적은 사회를 향하여>

104) 위르겐 하버마스 <하버마스의 이론과 실천>

105) 위르겐 하버마스 <인식과 관점>

106) 위르겐 하버마스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107) 위르겐 하버마스 <사실성과 타당성>

108-109) 칼 포퍼 <추측과 논박 1,2>

110) 리처드 팔머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111-112) 가다머 <진리와 방법 1,2>

113) 자크 데리다 <목소리와 현상>

114) 키에르케고르 <불안의 개념>

115) 비트겐슈타인 <문화와 가치>

116)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117) 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 논고>

118) 비트겐슈타인 <청색책/갈색책?

119) 테리 이글턴 <비평가의 임무>

120) 테리 이글턴 <반대자의 초상>

121) 자크 랑시에르 <대화>

122) 마르틴 하에디거 <존재와 시간>

123) 푸코 <말과 사물>

124) 자크 랑시에르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125) 자크 랑시에르 <불화>

126) 칼 슈미트 <정치신학>

127) 질 들뢰즈 <주름 , 라이프니츠와 바로크>

128) 알렉상드르 마트롱 <스피노자 철학에서 개인과 공동체>

129) 질 들뢰즈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

130) 스피노자 <지성개선론>

131) 스피노자 <신과 인간의 행복에 대한 짧은 논문>

132) 질 들뢰즈 <스피노자의 철학>

132) 안토니오 네그리 <전복적 스피노자>

133) 안토니오 네그리 <선언>

134)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135) 질 들뢰즈 <안티 오이디푸스>

136) 질 들뢰즈 <의미의 논리>

137)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138) 질 들뢰즈 <니체, 철학의 주사위>

139-140) 질 들뢰즈 <시네마 1, 2>

141) 김상봉 <만남의 철학>

142) 스피노자 <정치론>

143) 스피노자 <에티카>

144) 질 들뢰즈 <칸트의 비판철학>

145) 스피노자 <신학정치론>

146) 피에르 부르디외 <강의에 대한 강의>

147) 피에르 부르디외 <자기 분석에 대한 초고>

148) 앙켈 핑켈그로트 <사유의 패배>

149) 프레데릭 그로 <푸코와 광기>

150) 피에르 부르디외 <텔레비전에 대하여>

151-152) 피에르 부르디외 <맞불 1, 2>

153) 장 보드리야르 <세계의 폭력>

154) 장 보드리야르 <무관심의 절정>

155) 장 보드리야르 <지옥의 힘>

156) 김성민 <바울과 현대철학>

157) 장 보드리야르 <생산의 거울>

158) 로널드 보그 <들뢰즈와 문학>

159) 로널드 보그 <들뢰즈와 시네마>

160) 질 들뢰즈 <디알로그>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