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리一理-읽기/홀로 오롯이 공부 - 爲己之學

이론Theory을 다룰 것 / 김영민 <적은 생활, 작은 철학, 낮은 공부> 3

by 一理ROASTERS 2023. 4. 30.

공부함에 있어서, 이론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그리고 사회가 좀처럼 좀먹어가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남의 기득권에게 마이크(매체의 주목)가 쥐어지기 때문이고, 물들어가는 한심한 개인이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공부를 할 필요가 없고, 풍경만큼은 깔끔하고, 결핍 하나 없이 평화로우니까. 풍경에 가려진 것들을 보려 하지 않기에.

이론을 배우는 것은 (그 경험적 비용과 감가상각에도 불구하고) 느낌의 너머로, 감각의 너머로, 상상(직관)의 너머로 나아가 실제에 박진하기 위해서다. 이런 뜻에서 이론을 배우고 그 뜻ㅇ르 적용하는 것은, 修行의 과정에서 에고를 넘어가려는 실천과 닮았다. 무릇 좋은 이론이란, 개인이 자신의 경험역(經驗域)에 빠진 채 거기에서 생성된 직관적 표상들을 매개적 의심 없이 믿는 태도를 교정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26)
이론 이전의 상태란, 가령 부르주아 개인이 역사와 체계의 전체상에 등진 채로 개인의 관심사에 얹힌 대상/표상 만을 떼어내어 의탁하려는 태도와 동일하다. ...'풍경에 빠져 그 기원을 잊는' 꼴과 닮았다. ...흔히 우파에게 실팍한 이론이 없다는 지적에는 일리가 있는데, 우파란 근본적으로 사회적 성취와 안정의 토대 위에서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집단이기 때문이다. (27)

 

연관글은 아래

https://1-pattern.tistory.com/293

 

강유원 <몸으로 하는 공부> 발췌독 #2 - 지식인이라는 일상

"현대사회에서 지식인이 살아가는 모습은 다양하지 않다. 둘뿐이다. 체제 안으로 흡수-고용되어 살아가거나, 아니면 꿋꿋이 살아가거나뿐이다. 강유원 , 74쪽 지식인은 우리에게 어떤 형태로 다

1-patter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