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리一理, 북-랩Book-Laboratory/Book-Archive

이민열=이한 선생님의 책

by 一理ROASTERS 2021. 6. 18.

왼쪽은 교육, 오른쪽은 민주주의, 아래는 번역서입니다. 빠진 책이 보이네요.. 어디 갔더라...

1. 공부 시리즈

이민열 교수님의 책은 제목이 약간 자기계발서 느낌도 나는 데, 속으시면 안됩니다. 눈에 띄자마자 서문을 먼저 보십시오. 선택을 안할 이유가 없습니다. 공부가 시험으로 끝나지 않고, 탐구로 이어지는 데 절대적인 안내서입니다. 절대적이에요. 꼭 읽으셔야 한다는 겁니다.

1) 탈학교의 상상력(집)

2) 학교를 넘어서

3) 이것이 공부다

4) 인생을 바꾸는 탐구습관

5) 콜버그의 호프집(+)

 

2. 민주주의 시리즈

한때 스테디셀러가 될 뻔했던,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의 이론적 결함을 세세하게 점검합니다. 어떤 베스트셀러를 읽기 전에 허술한 부분에 대해 파고들지 않으면 안됩니다. 저는 정의란 무엇인가를 먼저 읽기보다는 이 책을 먼저 읽을 것을 권장합니다. 이민열 교수님, 롤즈주의자입니다. 롤즈 가이드 해설서를 빨리 써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철인왕은 없다 책은 심의민주주의에 대한, 더 나아가 언론 환경에 대한 접근까지 망라해서, 넓혀 놓은 채로 다룹니다. 어떤 체계를 만들어내고 싶다면, 민주주의적 조직체계 구축을 위해 실용적으로 읽을 것을 권장합니다.

1) 정의란 무엇인가는 틀렸다

2) 철인왕은 없다

3) 너의 의무를 묻는다(집)

4) 기본권 제한 심사의 법익형량(없음)

 

3. 번역 시리즈

다른 것은 보지 않고, 이한 선생님 번역을 보고 샀습니다. 꼭 역자서문 혹은 후기를 읽을 것을 권장합니다. 포스트 민주주의-사치열병은 극단적인 신자유주의 상황에 대해 비슷한 논조로 갑니다. 그리고 이반 일리히를 읽는 사람이기에 당연히 신뢰할 수밖에 없잖아요 ㅎㅎ 아, 이 분 통해서 소개받은 학자로 로널드 드워킨, 로버트 달이 있습니다. 둘 다 법전문가이자 민주주의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고민하셨죠.

1) 로버트 프랭크 <사치 열병>

2) 콜린 크라우치 <포스트 민주주의>

3) 데이비드 케일리 <이반 일리히의 유언>

4) 로널드 드워킨 <자유의 법>(못찍음, 민주주의 칸에 놓임)

5) 로널드 드워킨 <법복 입은 정의> (못찍음, 민주주의 칸에 있음)

6) 코디 <너절한 도덕>(없음, 언젠간 사겠지....)

7) 에릭 올린 라이트 <계급론> (아직 없음, 살테다...)